Accounting

수입회계처리에 대한 고민

hksap 2008. 11. 11. 13:36
반응형

이론적인 부분이고 실무에서 여러 PO에 묶여 들어온 수입부대비를 해당 PO의 Item별로 나누어 지는 logic은 어케 설계를 해야하지.. 수입의 경우는 입고전에 송장이 먼저 도착하기 때문에 더 어려운것 같다. 그리고 각 유관부서들.. 수입운송팀과 관세팀에서 PO를 보고 BL과 면장에 관계된 PO번호를 다 넣어줘야 하는데 거참.. 고민이다. 엑셀로 구현이 안되면 SAP이고 나발이고 구현하기 힘들다.. 다 퉁쳐서 수량base로 배부하는 거다.. - -;; 좀더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 각 단위 원재료에 정확한 부대비를 산출하는거 시스템으로 가능하리라고 생각된다.

출처
http://cafe.daum.net/acctmoim/SjE/2356

- L/C(신용장)개설 방식에 의하여 원재료 또는 상품을 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경우 -

(1) 일반 내수용 상품 또는 원재료수입시의 회계처리

    ① 신용장개설시

(차) 선급금(L/C개설 수수료 등) ×× (대) 현금및현금등가물 ××

(차) 수입보증금 ××                 (대) 현금및현금등가물[주1] ××

( 현금및현금등가물 "현금및현금등가물"은 기업회계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계정을 그대로 표시한 것이다. 실무상으로는 당좌예금 당좌수표 또는 보통예금등의 계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외부보고용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해당금액을 "현금및현금등가물"에 포함하여 표시한다.

   ② 선적서류원본인수시

(차) 미착상품(B/L결제) ×× (대) 현금및현금등가물 ××

       수입보증금 ××

(B/L : 해상 운송에서, 화물의 인도 청구권을 표시한 유가 증권. 해상 운송인이 운송물을 수령 또는 선적하였음을 인증하고, 이를 운송하여 양륙항(揚陸港)에서 증권의 소지자에게 그 운송물을 인도할 것을 약속하는 증표이다. )

(차) 미착상품[주2] ×× (대) 선급금 ××

(미착원재료수입되는물품이상품이아니고원재료인경우에는미착원재료계정을사용할수있다. )

③ 수입통관시

(차) 미착상품(통관제비용) ×× (대) 현금및현금등가물 ××

                    부가가치세대급금 ××

④ 상품이 창고에 입고되는 시기

(차) 상품 또는 원재료 ×× (대) 미착상품 ××